본문 바로가기

천문학13

스마트폰 나침반이 왜 가끔 오작동할까? – 지구 자기장과 전자기 간섭 스마트폰 나침반의 원리스마트폰 나침반은 실제 자석이 아니라 전자 나침반(자력계, Magnetometer) 센서를 사용합니다. 이 센서는 지구 자기장의 방향을 감지해 스마트폰 화면에 북쪽을 표시합니다. 지구 자기장은 남북을 잇는 보이지 않는 거대한 자석과 같으며, 이 방향을 기준으로 GPS 지도나 별자리 앱이 동작합니다. 따라서 나침반의 정확도는 자기장을 얼마나 정확히 읽어내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여기에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 센서도 함께 작동해 기기의 기울기와 회전까지 보정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세워 들거나 눕혀 들 때도 방향이 맞게 표시되는 이유가 이 협업 덕분입니다. 다만 금속 부품, 전자기 간섭, 센서 자체의 노후화는 측정값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주기적 보정이 필요합니다. 최신 스마트폰은 A.. 2025. 7. 26.
하늘 높이 날수록 방사선이 늘어난다? – 비행 중 우주 방사선의 진실 비행기를 탈 때 우리는 흔히 기압 변화나 기내 건조함만 걱정합니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우주 방사선도 몸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우주 방사선은 태양에서 오는 태양풍과 은하에서 오는 고에너지 입자로, 대기권에서 차단되지만 고도가 높아질수록 그 차단 효과가 약해집니다. 따라서 항공기처럼 높은 고도(약 10~12km)를 비행할 때는 지상보다 방사선 노출량이 높아집니다. 그렇다면 비행기 승객은 고도에서 더 많은 우주 방사선에 노출될까요? 항공 여행이 일상화된 현대 사회에서 이 질문은 안전과 건강 측면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우주 방사선이란?우주 방사선은 태양에서 방출되는 태양풍 입자와, 우리 은하를 비롯해 우주 전역에서 오는 은하 우주선(Galactic Cosmic Rays)으로.. 2025. 7. 25.
밤하늘 관측의 진실 – 지금이 아닌 우주의 기록을 본다 밤하늘 별빛을 바라볼 때 우리는 지금의 우주를 본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사실 별빛은 실시간이 아닌 수 년에서 수천만 년 전의 기록입니다. 별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 즉 빛의 시간차 덕분에 우리는 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의 과거를 엿보고 있습니다. 이 개념은 단순한 낭만을 넘어, 우주를 연구하는 과학적 기초가 됩니다. 우리가 보는 별빛은 지금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미 폭발해 사라진 별의 흔적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과거와 현재가 겹치는 하늘은 우주의 스케일을 체감하게 만들고, 천문학의 매력을 한층 더 깊게 느끼게 합니다. 빛의 속도와 시간차의 원리빛은 우주에서 가장 빠른 속도인 초당 30만 km로 이동합니다. 이 속도를 기준으로 지구와 달 사이는 단 1.3초, 태양과 지구 사.. 2025. 7. 25.
밤하늘에서 별이 안 보이는 이유? 라이트돔 현상과 빛 공해의 정체 밤하늘의 별을 올려다보면 어릴 적 기억과는 다른 풍경에 놀라게 됩니다. 도시에서는 수많은 별이 사라진 듯 보이고, 별똥별을 보거나 은하수를 관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졌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까요? 그 답은 라이트돔 현상(Light Dome Effect), 즉 빛 공해(Light Pollution)에 있습니다. 라이트돔 현상이란 무엇인가?라이트돔 현상은 도시의 인공 조명이 밤하늘로 퍼져 올라가면서, 하늘이 마치 돔(dome)처럼 밝게 빛나 별빛을 가려버리는 현상을 말합니다.가로등, 건물 조명, 광고판 불빛 등이 밤하늘에 반사되면서 별빛보다 강한 인공광이 시야를 덮어버립니다. 이 때문에 사람의 눈은 어두운 별빛을 감지하지 못하고, 하늘은 흐릿하게 보이게 됩니다.이 현상은 영어로 ‘라이트 폴루션.. 2025. 7. 25.
우주에는 소리가 있을까? 디지털 기술로 재현한 우주 음향의 과학 밤하늘을 바라보며 ‘우주 속에는 소리가 있을까?’라는 궁금증을 한 번쯤 가져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영화 속 우주는 웅장한 효과음으로 가득하지만, 실제 우주는 과연 소리를 낼까요? 이번 글에서는 우주 음향의 과학적 원리와 이를 디지털 기술로 재현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진공 상태의 우주, 소리가 들리지 않는 이유 소리는 매질(공기, 물, 금속 등)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입니다. 그러나 우주는 진공 상태에 가깝기 때문에 공기 분자가 거의 없어 소리가 전해지지 않습니다. 즉, 우리가 귀로 직접 들을 수 있는 ‘소리’는 우주 공간에서 존재하지 않는 셈입니다. 이 때문에 아폴로 우주비행사나 국제우주정거장(ISS) 승무원들도 우주선 밖에서는 ‘정적’만 경험합니다.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우주에는 다양한 전파,.. 2025. 7. 24.
우주 날씨 예보는 누가 할까? - 태양풍 예측 시스템과 위성 보호 기술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면 평화로워 보이지만, 태양에서는 끊임없이 태양풍과 태양 플레어가 폭발하며 우주 환경을 흔들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위성 통신 장애, GPS 오류, 전력망 손상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우주 날씨(Space Weather)라고 부르며, 이를 미리 예보하는 기술은 지구와 인공위성을 지키는 핵심 과학 분야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인공위성 수와 우주 탐사 활동이 늘어나는 지금, 정확한 예보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주 날씨 예보는 누가, 어떻게 할까요? 우주 날씨란 무엇인가?우주 날씨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입자, 자기장 변화, 전자기파 활동이 지구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태양풍과 코로나 질량 방출(CME) 현상이 있.. 2025. 7. 24.